자주 사용하는 Linux 기본명령어(기본사용법)
1) find
사용법 : find "디렉토리" [옵션] "파일명"
ex) #find / -name httpd.conf
옵션
-name : 이름<패턴>으로 파일찾기
-amin n : n분전에 최종 접근된 파일
-atime n : n Day전에 최종 접근된 파일
-cmin n : n분전에 최종 변경된 파일
-ctime n : n Day전에 최종 변경된 파일
2) split ( 파일을 분할하는 명령어, 라인수, 용량에 따라 분할 할 수 있다.)
사용법 : split [옵션] "분할할 파일명" "생성된 파일명"
ex) #split -b 650m backup.tar
옵션
-b : 파일을 byte 단위로 분할
-l : 파일을 line 단위로 분할
3) wc (파일내의 라인, 단어, 문자 수를 출력)
사용법 : wc [옵션] "파일명"
ex) #wc sendmail.cf
-c : 전체 문자의 수를 출력
-l : 전체 라인의 수를 출력
-w : 전체 단어의 수를 출력
4) date
사용법 : date [옵션] [+포맷]
ex) #date +%Y%m%d
%Y : 년도
%m : 달
%d : 일
5) crontab
사용법 : crontab [옵션]
ex) #contab -e
-e : 작업 내용을 입력/수정
-l : 현재 작업내용 출력
-r : 예약된 작업을 삭제
6) head (파일의 처음 부분을 출력)
사용법 : head [옵션] "파일명"
ex) #head -5 exam
-<n> : 앞의 n만큼의 라인수만큼을 출력
-n <라인수> : 위와 동일
7) tail (파일의 끝부분을 출력)
사용법 : tail [옵션] "파일이름"
ex) #tail -5 exam
-<라인수> : 파일의 끝부분부터 라인수만큼을 출력
+<라인수> : 파일의 입력된 라인수부터 끝까지 출력
-f : 파일의 끝부분에 추가되는 부분을 계속 출력
8) cut (파일에서 특정 필드를 추출)
사용법 : cut [옵션] "파일명"
ex) #cut -c 2-4 sample
-c : 문자수를 열로 계산하여 출력
-d <구분자> : 필드 구분자를 사용
-f <구분자> : 파일내의 필드를 따져서 출력
9) paste (여러 파일의 내용을 하나로 합쳐서 출력)
사용법) paste [옵션] "파일이름" "파일이름"
ex) #paste -d exam2 exam3
-s : 한 파일의 내용을 한줄로 보여준 후,다른 파일의 내용을 한줄로 덧붙임.
-d : 출력되는 내용의 구분자를 지정한다.
10) grep (특정 단어나 문장 등을 포함하는 내용을 찾을때)
사용법) grep [옵션] [패턴] "파일이름"
ex) #grep test sample
-v : 패턴을 포함하지 않은 행을 출력
-l :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는다.
-n : 줄 번호를 함께 출력한다.
-H : 파일명을 출력한다
11) sort (내용을 정렬해주는 명령)
사용법 : sort [옵션] "파일이름"
ex) #sort -k2 -r sample
-f :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.
-r : 내림차순으로 정렬
-h : space를 무시한다.
-k : 필드 번호를 나타낸다.
-t <구분자> : 필드 구분자로 <구분자>를 사용한다.
-n : 숫자 순서로 정렬
12) sed (화면에 출력되는 내용을 필터링해서 보여준다.)
사용법 : sed [옵션] "파일이름"
ex) #sed 's/01/82-1/g" sample
p : 행을 출력한다. (-n 옵션과 함께 사용시, 선택된 행만 출력한다.)
d : 선택한 행을 삭제한다.
-f : 파일 안의 내용을 실행한다.
's/A/B/g' : A를 B로 대체
-e : 다중 편집을 지원
-q : sed를 종료
13) awk (특정 패턴의 조작이나 검색을 주목적으로)
사용법 : awk '패턴' {action} "파일이름"
(1) 패턴정리
BEGIN : 특정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먼저 실행
END : 특정 명령을 실행한 후 제시되는 문장을 실행시킨다.
/정규표현식/ : 정규표현식의 패턴을 포함하는 라인에서 문장을 실행
패턴1 && 패턴2 : 패턴1과 패턴2를 만족시킬때 문장을 실행
패턴1 || 패턴2 : 패턴1과 패턴2중 하나만 만족시켜도 문장을 실행\
(2) awk 내부 변수
FILENAME : 현재 처리되고 있는 파일이름
FS : 필드 구분자
RS : 레코드 구분자
NF : 현재 레코드에서의 필드 수
NR : 현재 파일에서의 레코드 수
OFS : 출력시의 필드 구분자
ORS : 출력시의 레코드 구분자